서양 철학
회의주의의 '트로포이(Tropoi)': 지각과 판단의 상대성 강조
헬레니즘 시대에 등장한 회의주의는 인간의 인식 능력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며, 확실한 지식의 존재 가능성을 부정했습니다. 특히 회의주의자들은 우리가 세상을 인식하고 판단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여 객관적인 진리에 도달하기 어렵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제시된 논증들의 모음이 바로 ''트로포이(Tropoi)''입니다. 트로포이는 '방식', '경로', 또는 '논거'라는 의미를 가지며, 감각 ''지각''의 주관성과 ''판단''의 상대성을 강조하여 독단적인 주장을 약화시키고 판단 중지(Epoche)를 옹호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회의주의에서 트로포이가 갖는 의미와 그 다양한 유형을 살펴보고, 트로포이가 어떻게 지각과 판단의 상대성을 드러내며 회의주의 철학..